‘보수의 성지’ 강화, 왜 총선 후엔 항상 ‘빈손’인가

4월 10일 전국적으로 22대 국회의원 300명을 선출하는 선거가 치러진다. 인천시 강화군은 중구, 옹진군과 한 지역구로 묶여 지역을 대표하는 1명의 국회의원을 뽑게 된다.


보수라 일컬어지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현역 의원인 배준영 후보와 진보라 불려지는 더불어민주당의 조택상 후보가 다시 맞붙는다. 두 후보는 4년전 총선에서 한 차례 대결했다. 배준영 후보가 강화군의 ‘보수 표심’ 덕분에 승리했다.


당시 선거에서 강화군민은 배후보에게 많은 표를 던져줘 그의 승리에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배후보는 중구에서 뒤졌으나 강화군에서 2만4668표(60.89%)를 얻어 조후보의 1만4948표(36.94%)보다 무려 9700표를 더 얻어 당선됐다.


강화군은 오랫동안 보수 진영에게 절대적인 표를 몰아줬다. 지난 2022년 강화군수를 선출하는 지방선거에서도 국민의힘 유천호 후보가 1만7887표(47.33%)를 획득해 더불어민주당의 한연희 후보의 1만3379표(35.35%)보다 4500여표를 더 얻어 강화군수가 됐다.


2022년 3월에 치러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2만9267표(60.96%)를 획득해 1만7036표(35.48%)를 얻은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를 제쳤다. 윤후보의 당선에 강화군민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왜 강화군은 오랫동안 ‘보수의 성지’라 불리며 보수 후보들에게 표를 몰아주는 것일까.

우선 강화군의 초고령화다. 강화군 통계에 따르면 2023년 9월 현재 강화인구는 6만9162명으로 조사됐다. 이중 20세부터 39세는 7269명으로 전체 인구의 14%에 불과하다. 40세 이상은 5만3000여명으로 무려 75%가 넘는다. 65세 이상만도 2만5345명으로 37%에 이른다. 한 마디로 젊은 층의 표심이 힘을 발휘할 연령 구조가 아니다. 주민들이 한곳에 머물며 오래 살다보니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표심도 달라지지 않는다.


둘째는 북한과 접경지인 지정학적 특성이다. 강화도 북쪽은 바로 북한이다. 육안으로도 매일 볼 수 있다. 민족의 아픔인 6.25 난리로 인해 북에서 남으로 넘어온 실향민도 적지않다. 북한이 긴장을 조성하면 접경지인 강화군도 초긴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같은 심리적 긴장이 강화군민들에게 보수를 선택하게 만든다. 요즘같은 남북의 강대강 대치는 보수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다.


셋째는 배타성이다. 강화도는 강화대교와 초지대교 연결로 맘만 먹으면 바로 오갈수 있어 단순 지리상으로는 섬이라고 볼수 없다. 그 옛날 날짜를 미리 살펴야 하고 뱃시간에 맞춰야 하는 불편함을 요구하는 외딴 섬이 아니다. 과거보다는 육지인과의 교류도 많아졌고 강화군민도 수시로 육지를 오간다. 그러나 섬은 섬이다. 여행객은 많지만 강화도에 살려는 외지인의 유입이 쉽지 않다. 설사 외지인이 들어와서 살려해도 강화도만의 텃세를 이겨내기가 만만치 않다. 인구 변화와 이동이 많아야 하나 강화도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주민들의 한번 정해진 표심은 특별한 일이 없는한 선거에 그대로 반영된다.


이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강화군은 선거 때마다 보수 후보에게 절대적으로 표를 몰아줬다. 그러나 선거가 끝난 후면 강화군은 항상 대접받지 못했다. 돌아온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눈에 띄는 공약조차 볼수가 없었으며 설사 공약이 있어도 제대로 실천에 옮겨지는 지는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제라도 강화도 유권자들은 총선을 앞두고 각당 후보가 강화를 위해 무엇을 공약했는지 한번이라도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


이번 총선에서도 강화군의 표심은 크게 바뀌지 않은 것이다. 이변이 없는 한 보수 후보에게 많은 표가 쏟아질 것이다. 과연 표심이 어떻게 변화하고, 보수와 진보 진영간의 표차가 얼마나 날지 강화도 선거의 관전 포인트다. 중요한 건 총선이 끝나고 강화도에 조금이라도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두(언론인)
(전 조선일보 인천취재본부장 / 전 인천일보 일간경기 / 현대일보 편집국장)


<저작권자 ⓒ 강화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벽하 기자 다른기사보기